Linux OS에서 특정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찾는다. 특정 파일 뿐만아니라 디렉토리를 찾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find의 기본형태는 다음과 같다. find [경로명] [옵션] [파일명] ex) -> find / -name catalina.sh 경로명? -> 리눅스에서는 여러 경로가 있다. -> 가장 최상위인 /(루트) ->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하는 . 등등.. 여러 경로가 있다. -> 경로에는 절대경로와 상대경로가 있는데 절대경로는 가장 최상위인 / 부터 시작하는 고정된 경로이며 상대경로는 현재 위치한 곳에서 시작하는 경로이다. find 옵션 -> name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으로 검색 ex ) find / -name catalina.sh -> empty : 빈 ..

IP.. 굳이 IT분야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다들 IP라는 말은 들어봤을 것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IP란 무엇인가? IP란? - internet protocol의 약어이다. - 논리적인 주소로 실제 존재하지 않는 주소이다. - IP는 현재 IPv4 와 IPv6 두가지 버전이 존재하며 흔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건 IPv4다. - PC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주소 이며 뿐만 아니라 요즘엔 인터넷 TV,스마트 냉장고, 스마트폰 및 공유기 등 많은 기기에 IP가 할당된다. - 이런 IP는 사설 IP와 공인 IP로 구분된다. - 당장 윈도우키 + R키를 눌러 실행창에서 cmd 모드를 실행한뒤 ipconfig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하고 있는 IP정보를 확인할 수 있..
파밍? - Pharming은 정상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는등의 공격 방법이다. - https://kk-7790.tistory.com/23 에 설명 되어 있듯이 DNS에 접속전 PC내부에 있는 hosts파일에 우선 접근해 웹서버의 IP를 알아내는데 웹서버의 IP를 사용자가 원하는 진짜 사이트가 아닌 가짜 사이트의 주소로 바꿔 놓으면 정상 웹페이지가 아닌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 이렇게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DNS 서버에 접속하기 전, hosts 파일의 내용을 변경해 가짜 사이트의 주소가 들어가 있을 경우, 해당 웹사이트가 아닌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게 된다. - 만약 은행사이트에 접속했는데 그게 해커가 만든 가짜 사이트라면..? 당신의 통장은 ..

DNS 란? - Domain names system 의 약어로, IP를 www.naver.com 같은 도메인과 매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어떤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선, 해당 웹서버에 접속해야 하는데, 웹서버는 IP로 접근이 가능하다. - 그런데 웹페이지가 한두개도 아니고.. 인터넷에는 수많은 웹페이지가 존재한다. - 이런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숫자로 된 IP를 기억하기는 거의 불가능 하다. - 이러한 불편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이라는 형태로 웹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 그러나 도메인 만으로 웹서버에 접속할 수 없고 도메인을 IP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변환작업을 DNS가 한다. - 한마디로 IP를 쉽게 접근가능한 도메인주소로 매칭시켜주는 일을 하는것이 DNS 이다. - 각 나..
파일? - 파이썬은 파일을 생성하거나 수정, 읽을 수 있다 - 파일을 생성하거나 열때는 open함수를 사용하며 파일이름, 모드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파일 이름에는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써서 해당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hosts 파일의 위치를 적은뒤 수정하여 파밍에 유도할 수 있다. - 파일을 닫을때는 f.close()를 사용한다 - 파일에 내용을 쓰고 싶을때는 f.write(저장할 내용)이렇게 사용한다. f = open("새파일.txt",'w',encoding='utf-8') data = "배고프다" f.write(data) f.close() - 파일을 확인하면 배고프다 라고 쓰여있는것을 볼 수 있다. - 일일히 파일을 open과 close를 쓰는것 말고 파일을 자동으로 열고 닫고 처리하는 기능이 있..
수학시간에 사용됬던 함수를 파이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사용된다. 헉, 나 수포자 였는데?! 하는 걱정이 있다면 접어두시길..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그런 함수와는 다르다! 함수란? - 공장에서 빵을 만들기 위해 밀가루를 넣으면 중간 과정을 거쳐 빵이 나오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쉽게 말해서 밀가루 (값)을 넣으면 중간처리(함수)를 하여 빵(결과값)이 출력되는 것이 함수이다. - 수학시간에 사용한것처럼 값을 넣으면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 함수는 만들때 앞에 def 를 적고 함수명과 입력받을 값으로 선언한다 def sum(a) : return a+3 sum 이라는 이름의 함수를 만드는데, ()안에 a는, 함수에 넣을 '값'을 말한다. 파이썬에서는 a는 '변수'의 의미로, a라는 ..
프로그래밍을 짜다보면 반복해야하는 구간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럴때 사용하는 문법이 바로 FOR문 이라는 녀석이다. for문 이란? - 소스코드를짜다 보면 특정 소스를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구구단을 만든다면 2*1 = 2, 2*2 = 4, 2*3=6 … 이렇게 일일이 손으로 코딩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바로 for문 이다. -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For 받을변수명 in 변수명 : 반복할내용 - if문과 마찬가지로 들여쓰기를 기준으로 실행문은 실행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for문에는 range라는 함수가 있는데, range는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함수이다. 1~100까지의 숫자 리스트를 만들고 싶다면 range(시작값,종료값+1)을..
이제 파이썬의 자료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형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IF문 이라는 녀석에 대해 알아보자. if문 이란? - 프로그래밍을하다보면 여러 개 상황중 하나를 골라야 할때가 있다. - 예를들어 점심메뉴를 골라주는 코드를 짤 때, 점심밥으로 양식을 고를수도 있고, 한식을 고를수도 있다. - 이럴때 선택지(조건)를 만들어 주는 것이 if문이다. - if문을사용하기 위해서는 코드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를 알아야할 필요가 있는다 == 같다, != 틀리다, >= 크거나 같다 , 크다 ,
저번 장에서는 변수와 리스트에 대해 알아봤다. 이게 끝일꺼라는 생각은 ㄴㄴㄴ.. 파이썬에는 변수와 리스트 외에 다른 형태로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자료형'이 존재한다. 1. 튜플 - 튜플은리스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리스트 이다. - 튜플과리스트의 차이점은 리스트는 값을 선언한 후 변경 할 수 있는 반면에, 튜플은 한번 값을 선언하면 변경하지못한다는 것이다. - 튜플은리스트와 다르게 () 괄호를 사용해 정의한다 -ex) 1line = (‘소요산’,’동두천’,’보산’, … ) 2. 딕셔너리 - 딕셔너리는사전적 의미로 ‘사전’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딕셔너리는‘키’와 그 키에따른 ‘값’으로 매치되어 이 값을 한쌍으로 가지는 변수이다. - 사용법은 -> 딕셔너리명={‘키’ :[‘값1’,’값2’,’값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