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 창업을 위한 인간수업
반응형
변수와 리스트
Develop/python 2019. 9. 7. 00:21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개념은 '변수'이다. 1. 변수 - 변수란변하는 수를 의미하는 말로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 C,JAVA등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는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는데, 파이썬은변수의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 - 변수타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어떤 값을 저장할 공간의 이름을 지정한뒤 값으로 숫자, 문자, 문자열등을 넣어 사용할 수 있다. - 변수를 지정할 때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으로 변수명을 지정할 수 있다. - 보통 아무렇게나 이름을 정하여 사용하지는 않고, 의미 있는 이름으로 선언한다. 그 이유는 소스코드를 유지보수 하거나, 수정할 때 변수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는지 이해하기에 좋다. - 따라서변수를 사용하기 ..

파이썬은 무엇인가
Develop/python 2019. 9. 7. 00:14

파이썬 이란? 파이썬(Python)은 1990년 암스테르담의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귀도는 파이썬이라는 이름을 자신이 좋아하는 코미디 쇼인 "몬티 파이썬의 날아다니는 서커스(Monty Python’s Flying Circus)"에서 따왔다고 한다. 파이썬의 사전적 의미는 고대 신화에 나오는 파르나소스 산의 동굴에 살던 큰 뱀을 뜻하며, 아폴로 신이 델파이에서 파이썬을 퇴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파이썬 책 표지와 아이콘이 뱀 모양으로 그려져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출저 : https://wikidocs.net/4307 위 내용은 점프 투 파이썬 이라는 책에 서술된 내용이다. '파이썬' 이 어떤의미인지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굳이 위..

본딩 이란?
CS/Network 2019. 9. 6. 16:30

본딩(bonding) 이란? - 여러개의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어 NIC의 갯수만큼 대역폭을 확장하는 기술이다. - Fault Tolerance(장애 허용 시스템)의 기능을 하여 부분적으로 장애가 발생해도 시스템은 작동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 본딩을 설정하면 부하분산 혹은 부분장애가 있어도 동작할 수 있다. - 본딩은 여러 NIC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기능인 만큼 최소 2개 이상의 NIC가 필요하다. - 본딩에는 7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본딩 모드의 종류 Mode 0 : Balance-round robine 정책 : 첫 번째 부터 마지막까지 순차적으로 NIC에 트래픽을 분산시켜 전송하는 모드이다. 부하분산과 장애 허용을 제공한다 Mode 1 : Ac..

Mesos 란 무엇인가
CS/DB 2019. 9. 2. 15:58

mesos란? -> 분산 커널 시스템 -> 네트워크로 묶여있는 여러 시스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resource pool로 하나의 컴퓨터 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 간단하게 말하면 Mesos를 사용하면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 resource pool? -> 미리 자원을 확보해 사용자가 요청시 즉시 자원을 제공하는 것 Mesos에는 Framework, Master, Agent가 존재한다. 1. Framework -> 작업스케쥴링을 한다. Task (작업)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2. Master -> Framework에게 사용 가능한 자원을 알려준다. -> Framework 가 Task 수행 요청시 Master는 수행할 Agent를 골라 작업을 시킨다. ..

article thumbnail
KAFKA 란?
CS/DB 2019. 9. 2. 15:24

kafka란 무엇인가 - 분산 메세징 시스템 [여러곳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여러서버에게 분산해서 처리하는 것] -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대규모 데이터 이동 시스템이다. 아래 사진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Producer, 즉 정보를 여러 곳에서 수집(생성)을 한뒤, Kafka cluster(kafka가 설치된 서버)에 모두 수집한 후 consumer(정보 소비자)에게 분산되에 메세지를 뿌려주는 일을 한다. * Kafka cluster란? -> 우선 cluster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cluster란 여러 서버를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것이다. -> Kafka cluster는 여러 서버를 묶어서 하나의 Kafka로 동작하는 것이다. -> 하나의 서버는 broker 라 부른다. kafka는 ..

11. 의사코드

의사코드란? - pseudocode​, '가짜'코드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내어 알고리즘을 표현한 코드이다 - 프로그램의 논리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 특정언어로 작성하기 전 대략적으로 알고리즘을 모델링 할 때 쓰인다 - 단순히 소스코드를 입력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 의사코드를 설계 함으로 오류를 찾는것과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 했을때 디버깅 하기 편리하다 -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르게 정확한 문법이 없으며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표현 가능하다 한마디로 의사코드는 프로그래밍으로 알고리즘을 짜기전 비슷하게 만드는 코드로 쉽게 알고리즘을 짜기위한 사전 작업이라 생각하면 된다.

10. 알고리즘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서 '알고리즘'이란 말을 들은 경험이 있다. 뭔가 알고리즘이 간단하고 완벽해야 좋은 프로그램 이라던지.. 문법이나 그런것보단 알고리즘이 더 중요한다던지.. 그렇다면 알고리즘이란 뭘 의미하는 것일까? 알고리즘이란?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동작의 모임(간단히 말하자면 문제 해결 방식) - 입력된 값을 출력으로 바꾸기 위해 컴퓨터가 따르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C,JAVA같은 컴퓨터 언어로 처리하는 과정이다. - 예를 들어'홍길동'이란 이름을 찾는 방법이라 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은행에서 계좌이체를 하기위한 순서인 '번호표 뽑기 -> 해당은행의 통장제시-> 이체할 계좌 말하기 ...'의 과정을 알고리즘이라 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정의하자면 몇가지 조..

9. 인공지능

인공지능이란 시스템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지능을 의미한다 인공지능에 사용되는것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간단하게 말하자면 다음과 같은 곳에 인공지능이 사용된다. 자연어 처리 -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자연어'라 한다. 이 자연어의 의미를 분석해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자연어 처리라 한다 - 문장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닌 구와 절로 나누어 의미를 파악한다 - 문장 -> 형태소 분석 -> 구문 분석 -> 의미분석 -> 화용 분석 의 단계를 거쳐 자연어를 분석한다 음성인식 - 사람이 말하는 음성을 컴퓨터가 해석해 문자 데이터로 처리하는 것 - 음성인식 기술은 음성인식과 화자인식으로 분류된다 - 입력받은 음성을 분석해 특징을 추출한 뒤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DB)와 가장 유사한 것을 찾..

8.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게임에 관심이 있는사람들 이라면 VR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필자도 머리에 무슨 기계같은걸 쓰고 마치 게임이 현실에 보이는 것처럼 움직이며 게임하는것을 본적이 있다. 물론 이러한 게임에 관심이 없더라도 뉴스나 다른 매체에서 '가상현실' 이란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몇년전 한참 유행했던 '포켓몬고'라는 게임도 들어 봤을 것이다. 이런 게임 뿐만 아닌 화두가 되는 HOT한 키워드인 VR과 AR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가상현실 - VR, virtual reality 의 약어 - 컴퓨터로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을 만들어 실제처럼 상황을 느끼게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이다 - 쉽게 말해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처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일반 디스플레이와 다르게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