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 창업을 위한 인간수업
반응형
SQL - DML 쿼리문 사용법
CS/DB 2019. 10. 29. 16:32

SQL 이란? -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어이다. -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데이터 베이스에선 쿼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삽입,삭제, 갱신한다. - SQL에서 데이터 베이스에게 뭔가 요청하는 것을 Query, 문의라 하는데 요청하는 모든 명령어를 쿼리 라 한다. - 쿼리의 종류로는 DML,DCL,DDL이 존재한다. 쿼리의 종류 1. DDL - Data define languege의 약어로 직역하면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다. - 주로 생성, 변경, 삭제 등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이다. - CREATE, ALTER,DROP 등이 이에 속한다. 2. DML - data manipulation languege의 약어로 데이터 조회,..

article thumbnail
Port 란?
CS/Network 2019. 10. 28. 10:45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개발쪽을 공부하다 보면 port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다, Port 란 무엇일까? 일단 네*버에 영어로 'Port' 라고 검색해보면 항구라고 검색된다. 그렇구나! 내가 찾는건 항구였구나! 네트워크에서 말하는건 항구였네! 라고 생각하면.. 굳이 틀린말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IT에서 사용하는 Port와는 살짝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론 완전히 다른뜻 이라기보단 어느정도 비슷하지만 다르다고 생각하는게 더 쉽다. Port 는 프로토콜 별로 사용하는 포트가 있는데, 해당 포트를 입력해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통신을 할땐 여러 프로토콜이 존재하는데,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 구분하기 위해서 프로토콜별로 Port 번호를 부여해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예를들어 ..

보안 관제란 무엇인가
Security 2019. 10. 27. 00:55

보안 관제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어떤것인지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찾아볼 수 있다. 정책 위반 또는 침입으로부터 시스템과 네트워크 자원의 손상을 막기 위해 관제가 필요한 모든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즉각 대응, 관리할 수 있도록 인력, 절차, 기술 및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행위 불법 해킹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시스템과 네트워크 자원의 손상을 막기 위해 사이버 보안 관제가 필요한 모든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활동 -> 해킹이나 위협 등으로 부터 자원 손상을 막기 위해 대응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보안 관제라 한다. * 여기서 중요한 키워드는 보안 관제가 필요한 모든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즉각 대응하는 것! 이런 보안관제를 진행하기 ..

NAT 란 무엇인가
CS/Network 2019. 10. 23. 00:03

요즘 시대에는 PC 뿐만아니라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기타 IoT등등 다양한 곳에서 IP를 사용하고 있다. 예전부터 화두되었던 IP 부족문제는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IP 사용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왜냐면 IP는 중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세계에서 1개의 IP는 한곳에서 밖에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IP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중 하나가 바로 NAT 이다. NAT란 무엇인가? -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어로 네트워크 주소(IP)를 변환하는 기술이다. - 내부에서 사설 IP로 통신을 하다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선 공인 IP로 변경하여 사용해야 한다. - 그 이유는 IP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설 IP와 공인 IP로 대역을 나눠서 사용..

정탐, 미탐, 오탐 이란?
Security 2019. 10. 20. 01:05

보안에 있어서 악성 코드 및 악성 파일 등 위협이 되는것을 탐지하는 구분은 4가지가 존재한다. 아래 표와같이 구분된다. Positive Negative True True Positive False Negative False False Positive True Negative 표의 단어의 뜻을 하나씩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True : 옳다, 정답 False : 틀리다, 오답 Positive : 긍정적 Negative : 부정적 이런 단어의 뜻을 합해서 생각하면 True Positive - 긍정적인 사실, True Negative - 부정적인 사실, False Negative - 부정적인 틀림, False Positive - 긍정적 틀림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단어의 의미 그대로 사용된다. 이..

article thumbnail
탭(Tap) 장비 란?
CS/Network 2019. 10. 15. 10:41

탭(Tap)장비가 뭔지 알기위해서는 우선 인라인모드와 미러링 모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망에서 패킷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장비를 설치하는 여러 유형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으로 인라인모드와 미러링 모드를 사용한다. 인라인(In-Line mode) 란? - 회선 안에 장비가 들어가는 방식 - 직접 회선에 개입해 장비가 영향을 주는 방식 - 패킷이 방화벽처럼 라인중간에 장비를 통과해서 트래픽이 전송되는 방식 미러링(Mirroring Mode)란? - 회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 - 트래픽을 복사해 그 복사본을 따로 확인하는 방식이 - 데이터 흐름을 복사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선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다. 탭(Tap)장비 란? - 위에 설명한 미러링 방식의 장비 -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article thumbnail
핫 스왑(Hot Swap) 이란?
CS/Network 2019. 10. 14. 14:07

장비나 서버를 다루다보니 현장 용어로 사용하는 핫스왑에 대해 처음 들어보았다. 이쪽에선 아주 기본적인거라하니 개념을 알아보자. 핫스왑이란? - 전원이 켜져있는(작동중인) 시스템을 끄지 않고 부품을 교체 할수 있는 방식이다. - 서버나 장비의 디스크 등을 교체할때 굳이 전원을 OFF시킨후 교체하지 않고 그냥 디스크등을 교체가능하다. - 디스크 교체시 따로 설정이 필요하지 않고 바로 장치를 인식한다. - 이런 핫스왑은 물리적으로 장치를 제거 및 인식이 가능하다. - 핫스왑을 사용하려면 메인보드가 핫스왑 관련 기능을 지원해야 하며,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의 작동모드를 AHCI로 설정해야 한다. - 주의할점은 핫스왑을 지원한다고 해도 읽기/ 쓰기 작업 중 디스크를 빼버리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핫스..

article thumbnail
하둡 이란?
CS/DB 2019. 9. 16. 18:26

하둡이란? - 하둡은 2006년 '넛치'라는 검색엔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대용량의 비정형 데이터를 기존의 RDB(관계형 DB) 기술로는 처리가 힘들다는 것을 깨닫고, 새로운 기술을 찾는 중 구글에서 발표한 GFS(google file system)와 MapReduce 관련 논문을 참고하여 개발했다. - 이후 아파치 재단의 오픈 소스로 공개 됬다. - 하둡은 분산 시스템인 HDFS(Hadoop Distributed Fule System)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맵리듀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한다. - 하둡은 하나의 성능 좋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대신, 적당한 성능의 범용 컴퓨터 여러 대를 클러스터화하고, 큰 크기의 데이터를 클러스터에서 병렬로 동시에 처리하여 처리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

article thumbnail
DB[데이터 베이스] 란?
CS/DB 2019. 9. 16. 13:58

데이터 베이스(Date Base) - DB 란? -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 쉽게 예시를 들자면 지금 보고있는 이 블로그 자체도 DB, 데이터 베이스라 할 수 있다. - 꼭 이런 블로그 뿐만 아니라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 여러 데이터를 쌓아놓은 곳을 데이터 베이스라 할 수 있다. DBMS 란 ? -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적절히 처리하고 응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 간단하게 DB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Mysql, 오라클 등.. DB의 종류 - DB에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다. - 대표적으로 계층형 DB, 네트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