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시간에 사용됬던 함수를 파이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사용된다.
헉, 나 수포자 였는데?! 하는 걱정이 있다면 접어두시길..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그런 함수와는 다르다!
함수란?
- 공장에서 빵을 만들기 위해 밀가루를 넣으면 중간 과정을 거쳐 빵이 나오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쉽게 말해서 밀가루 (값)을 넣으면 중간처리(함수)를 하여 빵(결과값)이 출력되는 것이 함수이다.
- 수학시간에 사용한것처럼 값을 넣으면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 함수는 만들때 앞에 def 를 적고 함수명과 입력받을 값으로 선언한다
def sum(a) :
return a+3
sum 이라는 이름의 함수를 만드는데, ()안에 a는, 함수에 넣을 '값'을 말한다.
파이썬에서는 a는 '변수'의 의미로, a라는 변수안에 저장된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return은 처리값을 돌려주고 싶을때 사용한다.
이렇게 def 함수명(사용할 변수): ... 를 써놓은 것을 '함수를 선언한다'라고 한다.
주의할점은 함수는 선언한다고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선언 후 '호출'해야 값을 출력 할 수 있다.
def sum(a) :
return a+3
a = 5
print(sum(a))
여기서 해당 코드를 디버깅 하면, 위에서 부터 쭉읽어오면서
'아, sum이라는 함수가 있구나!'하고 넘어가게 된다.
그뒤 print(sum(a))라는 곳에서 sum() <- 이형식을 보고 함수를 호출한다는 것으로 인지하여, a에 입력된 값인 5를 +3하여 결과를 'return'한다.
그래서 결과를 출력하면 8이라는 값이 출력된다.
----------------------------------------------------
*잠깐! print란?
- 프로그램이 실행된다고 해서.. 제대로된 값이 나오는지 어떤지는 알수 없다..
- 그래서 작성한 코드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하기위해 사람이 보려고 '출력'할때 사용하는 함수가 바로 print()이다.
- 파이썬을 포함한 다른 언어에서도 () 가 들어가는 것은 함수라고 생각하면된다.
- 누군가 결과를 출력해 보기위해 print() 라는 함수를 만들었고, 파이썬 설치시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어서 따로 설정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print()에서 ()안에 출력할 내용을 입력해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Develop >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le 문이란? (0) | 2019.11.03 |
---|---|
파이썬에서 파일이란? (0) | 2019.09.07 |
FOR문 (0) | 2019.09.07 |
IF 문 (0) | 2019.09.07 |
파이썬의 자료형 (0) | 2019.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