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는 가상 네트워크인 VPC를 통해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VPC 생성하기
1. 검색에서 VPC를 검색한 뒤 VPC 생성을 클릭한다.
2. VPC를 설정한다 [VPC 등], 자동생성과 VPC 이름을 기입한뒤 CIRD 블록은 기본 값인 10.0.0.0/16을 입력한다.
3. 가용 영역과 서브넷을 설정한다.
- 가용영역은 1개, ap-northeast-2a를 선택
- 퍼블릭 서브넷은 1개, 프라이빗 서브넷은 생성 안할거라 0을 선택
- 퍼블릭 CIDR는 10.0.10.0/24로 지정
- 게이트웨이, DNS는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VPC 생성] 클릭
- VPC IPv4 CIDR 블록 값 지정 시 향후 직접 연결할 가능성이 있는 네트워크와 주소가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하는 것이 중요하며, 확장을 고려해 적당히 큰 주소를 할당하는게 좋음
설정을 마치면 VPC가 생성이 완료된다.
4. VPC 콘솔로 이동해 생성한 VPC를 확인한다.
- VPC-test-vpc로 되어있는걸 VPC-test로 변경해준다.
5. [VPC] - [서브넷] 으로 이동해 생성한 VPC 서브넷의 이름을 알아보기 쉽게 수정해주자.
여기까지 1차적으로 VPC 아키텍처를 아래와 같이 구성한 것
추가로 서브넷 생성하는 방법
아까 만든 A 외에, 추가로 서비스를 생성한다 생각하고 VPC에 서브넷을 추가해보자.
1. VPC 서브넷에서 [서브넷 생성]을 클릭한다.
2. 방금 생성한 VPC 인 VPC-test를 선택한다.
서브넷 세부 사항을 설정한다.
- 서브넷 이름 입력
- 가용역역은 서울에서 접근할거니 서울로, ap는 이전 서브넷과 다른걸로 지정
- IPv4 서브넷 CIDR도 이전과 다른 IP 대역으로 입력해준다.
- 입력이 끝나면 맨 아래 [서브넷 생성] 클릭
3. 서브넷 생성 확인
- 다시 서브넷 메뉴돌아와보면, 추가한 서브넷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 아래 아키텍처 처럼 VPC가 구성됐다.
'클라우드(AWS+Azure+GCP+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Tech camp 기초실습 : EC2로 웹서버 생성 (0) | 2024.04.09 |
---|---|
[AWS] AWS Tech camp 기초실습 : 라우팅 테이블 및 보안그룹 설정 (1) | 2024.04.08 |
[AWS] AWS Tech camp 기초 실습 : 계정 생성 및 MFA 설정 (0) | 2024.04.07 |
컨테이너(Container)란? (1) | 2022.04.13 |
katacoda - 설치없이 쿠버네티스 사용하기 (0) | 2022.03.27 |